본문 바로가기
메뉴열기

어촌 현황

어촌마을은 72개 시·군, 560개 읍·면·동, 5,374개 행정리에 분포

어촌지역 활력 증진을 위한 돌파구 마련 필요

어가 및 어가인구 지속 감소

어가 및 어가인구 지속 감소
구분 '09년 '12년 '15년 '19년
어가수(가구) 63,379 61,493 54,793 50,909
어가수(명) 183,710 153,106 128,352 113,898

고령인구 지속 증가 (어가 평균연령 63.7세)

고령인구 지속 증가 (어가 평균연령 63.7세)
구분 '09년 '12년 '15년 '19년
고령인구(명) 39,545 44,052 40,840 50,913
고령화율(%) 23,1 29,9 32,5 44,7

전업어가는 증가, 겸업어가는 감소

전업어가는 증가, 겸업어가는 감소
구분 '09년 '12년 '15년 '19년
전업어가(가구) 18,572 16,610 18,395 19,973
겸업어가(가구) 42,490 42,181 34,826 30,936

어업 외 관련사업 참여 어가수는 지속 감소

어업 외 관련사업 참여 어가수는 지속 감소
구분 '09년 '12년 '15년 '19년
참여어가(가구) 27,141 19,434 12,376 13,688
어촌계(전국 2,029개)차트 | 부산 2%,전북 3%, 강원 4%, 제주 5%, 경인 8%, 경북 8%, 충청 8%, 경남 23%, 전남 42%

어촌계(전국 2,029개)

어가(호)_ 전국 134,240호 차트 | 부산 2%, 전북 5%, 강원 4%, 제주 9%, 경인 7%, 경북 6%, 충청 13%, 경남 18%, 전남 36%

어가(호)_ 전국 134,240호

어촌계 종사유형 분포(총 2,029개 어촌계) 차트 | 복합형 39%(799개), 어선어업 28%(569개), 양식어업 33%(661개)

어촌계 종사유형 분포(총 2,029개 어촌계)

어촌계 입지유형 분포(총 2,029개 어촌계) 차트 | 연안촌락 62%(1,259개), 도시근교 15%(296개), 취약지구 23%(474개)

어촌계 입지유형 분포(총 2,029개 어촌계)

어촌관광 현황

자연경관이 우수한 도서지역을 찾는 여객선 이용객이 2013년 대폭 증가 후 현상 유지 이용객의 일반인 비중 76%를 차지 (최근 3개년 평균)

연안여객 이용자수(명)

: 1,430만(‘10) →1,606만(‘13) →1,542만(‘16) →1,458만(‘19)

연안여객 이용자수(명) 그래프 | 2010년(1,430만), 2013년(1,606만), 2016년(1,542만), 2019년(1,458만)

대표적인 어촌관광 프로그램인 ‘어촌체험마을’ 방문객수도 ‘19년 기준 1,320만명으로, ‘07년 512만명 대비 약 2.7배 증가

어촌체험마을 이용자수(명)

: 512만(‘07) →561만(‘12) →907만(‘16) →1,320만(‘19) →1,024만(‘21)

어촌체험마을 방문객수(명) 그래프 | 2007년(512만), 2012년(561만), 2016년(907만), 2019년(1,320만), 2021년(1,024만)
기준년도 : 21.12월 기준

어항 현황

전국의 어항․포구시설은 2,302개로, 「어촌ㆍ어항법」에 따른 어항 (1,034개소)과 소규모 항포구(1,268개소)로 구분

소규모 항포구는 법정 어항과 달리 지자체가 직접 개발·관리하고 있어 재정지원 부족 등으로 관리의 사각지대에 방치

지자체별로 교부세 등을 활용하여 최소한의 시설 보수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 (‘15년 기준 개소당 평균 2,200만원 수준)

국가어항 대포항 방파제

국가어항 대포항 방파제

비법정어항 방파제

비법정어항 방파제

어항 현황 | 어항 > 국가어항(전국의 어선들이 이용하는 대규모 어항, 115개), 지방어항(연안어업 지원의 근거지가 되는 중형급 어항, 289개), 어촌정주어항(어촌의 생활 근거지가 되는 소규모 어항, 623개), 마을공동어항(2개), 소규모 항·포구(비법정 어항, 1,268개)